4차 산업혁명과 에너지, 그리고 한국전력공사
4차 산업혁명과 에너지, 그리고 한국전력공사
  • 김창섭
  • 승인 2017.08.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창섭 가천대 교수·전기저널 편수위원장

우리나라 정책은 참으로 유행을 많이 탄다. 최근의 유행어는 4차 산업혁명이다. 그 이전에는 유비쿼터스, 컨버전스, 스마트 그리드 등 한 시대를 풍미한 슬로건들이 있었다. 그 뜨거운 열정은 오래가지 못했지만 시행착오와 함께 다른 슬로건으로 교 체되면서 진화를 계속하고 있다. 그렇다면 현재 다시 불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은 어떻게 진화할 것인가?
전력부문도 단위기기의 디지털화에서 진화하여 발·송·변·배전의 통합인프라를 지향한 바도 있고(전력IT), 타 산업과의 융 합을 시도한 바도 있다(제주CFI). 그리고 ESS를 중심으로 새로운 거래방식을 시도한 바도 있다(프로슈머). 여기에 더해 많 은 전문가들이 해외사례를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다양한 개념을 설파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가장 큰 공통적인 인식은 ‘데이터의 막대한 축적의 힘’이다. 전력부문도 아직은 초기단계이고 데이터 기반 역시 빈약하지만 결국 시간이 지 나면 큰 변화가 불가피할 것이다. 누가 데이터를 모으고 지배하며 변화를 주도하게 될 것인지 궁금하다. 
우리는 현장에서 이러한 변화를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 데이터를 수집하느냐 아니면 활용하느냐 등의 혁신가들이 항상 습 관적으로 이야기하는 빠른 움직임만이 모범답안은 아닐 것이다. 어마어마한 투자를 해야 하지만 글로벌 차원의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면 무용지물이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게다가 소비자의 니즈도 모르고 요소기술에 대한 확신도 없는 상태라 면 더욱 그러할 것이다. 스티브 잡스처럼 연단에서 이야기하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아무나 구글이나 아마존이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론적으로는 적극적인 주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우리의 현실을 볼 때 어차피 경쟁력이 뒤처지고 있는 상황에 서 이러한 선택의 실패에 따른 고통보다는 도전하지 않은 것에 따른 아쉬움이 더욱 클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4차 산업혁명 은 전력산업이 스스로 보다 더욱 스마트해지는 것인지 혹은 국가(정책 환경)와 시장(가정 공장)에서의 에너지 관련 잠재된 요구를 스마트하게 수용하는 것인지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기후변화대응, 믹스조정, 제조업의 ICT기반 혁신 그리고 전기화의 진전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감안할 때 전력분야가 더 잘 해야 할 필요성이 확실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 한 요구를 비용 효과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바로 4차 산업혁명의 출발점이다. 
전력부문이 4차 산업혁명을 수행하려면 한전의 결정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4차 산업의 실행력은 결국 막대한 규모의 데이터이고 우리나라에서 이 데이터는 한전만이 확보할 수 있다. 아쉽게도 한전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지대한 관심과 실행 의지는 높이 살 만하지만 막상 한전의 구체적인 비전이 무엇인지를 좀 더 구체적으로 보여줄 필요가 있다. 지금은 한전의 대규모 투자가 아닌 한 전의 포지셔닝에 대한 입장표명이 중요하다. 한전의 포지셔닝에 따라 관련 업계의 협업을 유도할 수 있고 이는 투자와 리스크의 규모를 경감해줄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새로운 아이디어와 가치논의가 촉발될 수도 있다. 한전이 가지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 식이 궁금한 현 시점에서 가끔은 4차 산업혁명은 개방성에서 시작되어야 한다는 평범한 상식이 떠올려지기도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