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차 수급계획 목표수요 또 줄었다
8차 수급계획 목표수요 또 줄었다
  • 변우식 기자
  • 승인 2017.09.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하 ‘8차 계획’)의 목표수요가 2030년 기준 100.5GW로 전망됐다. 제7차 계획 대비 12.7GW가 줄어들 수치이며, 올 7월 초안 때보다도 1.4GW가 감소된 값이다.

지난 15일 ‘재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요계획실무소위원회’는 한전 서울지역본부에서 회의를 개최하고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전력수요 재전망안을 이 같이 발표했다. 이날 회의에는 유승훈 서울과기대 교수, 강승진 한국산기대 교수 등 13명이 참석했다.

발표 주요내용을 보면, 8차 계획의 2030년 목표수요 100.5GW는 기준수요(BAU) 113.4GW에서 수요관리량 13.2GW를 차감한 후, 전기차 확산으로 인한 수요증가효과 약 0.3GW를 추가한 값이다.

이는 7차 계획의 2030년 수요보다 12.7GW가 작은 값이다. 특히 올 7월 수요계획 초안의 2030년 수요보다도 약 1.4GW가 감소된 수치인데, 이는 9월 GDP 재전망(2.47%→2.43%)에 따른 감소(0.4GW), 누진제 개편효과 제외(0.6GW), 수요관리 목표량 확대(0.4GW) 등으로 인한 효과라는 설명이다.

GDP 재전망으로 430MW 감소

8차 계획에서 입력전제로 사용한 경제성장률은 2021년까지는 기획재정부에서 전망한 3.0% 수준이며(2017.8 국가재정운용계획), KDI는 기획재정부의 경제성장전망을 토대로 계획기간(2017~2031년)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2.43%로 산정(2017.9)했다.

이는 지난 7월 발표한 수요전망 초안에서 사용한 경제성장률 전망 2.47%보다 0.04%p 하락한 것이다. 연평균 성장률이 0.04%p 하락한 것은 2017~2021년 연평균 성장률이 3월 전망에서는 3.1%였으나, 기획재정부의 8월 중기재정전망에서 3.0%로 소폭 하락한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누진제 개편 효과 제외로 약 600MW 줄어

7월 초안 공개시 누진제 시행으로 2030년 최대전력이 약 600MW 증가할 것으로 반영했으나, 이번 재전망(안)에서는 제외했다. 7월 초안은 올 6월 하계전력수급대책을 수립하면서 산정한 단기 누진제 개편 효과를 반영했으나, 이후 전문가 검토 과정에서 누진제 개편으로 인한 전력수요 증가 효과는 일시적인 것으로 시간이 갈수록 누진제 개편의 체감도가 떨어지면서 수요증가 효과도 사라진다는 결론을 도출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워킹그룹 전문가는 “호수에 돌을 던졌을 때, 돌이 떨어진 곳에서 가까운 곳부터 물결이 세게 일고, 먼 곳으로 가면서 물결이 점차 약해지다 결국에는 없어지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수요관리 목표 상향 등으로 약 400MW 절감 가능

수요관리는 상시 전력소비량을 감축하는 방안과 피크수요를 감축하는 방안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2030년 기준으로 총 13.2GW 절감 가능할 것으로 분석됐다.

상시 감축은 공장·건물·가정 등 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 확대, 자가 태양광 보급 등으로 6.5GW 가량을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으며, 피크 감축은 에너지저장장치(ESS) 보급 확대, 부하기기 활용, 수요자원(DR)시장을 활용할 경우 6.7GW 절약이 가능하며, 이 중 수요자원(DR)을 통해 2030년 3.8GW까지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2017년의 경우 현재까지 피크 감축을 위해 DR을 1.6GW 활용했다.

전기차 확산으로 300MW 증가 효과

4차 산업혁명이 진전되면서 IoT, AI 등과 관련한 개별 디바이스의 전력사용량이 늘어나더라도 4차 산업혁명의 생태계를 통해 전체 에너지 사용은 효율화(감소)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토됐다. 아직 4차 산업혁명이 태동기로 충분히 진전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체 효과를 수치로 산정하는 것은 불확실성이 많아 8차 계획에 반영하는 것은 다소 무리라는 것이 수요소위와 전문 용역기관의 결론이다.

다만, 전기차와 같이 수요증가가 확실한 요인에 대해서는 전력수요에 반영하고자 했다는 것이 위원회의 설명이다. 전기차에 대해서는 정부의 전기차 보급목표(30년까지 100만대)와 전기차 보급이 활발한 제주도와 미국 캘리포니아의 시간대별 충전 패턴을 시나리오화해 검토했으며, 그 결과 2030년 약 300MW의 전력수요 증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수요예측 모델의 예측 정확성은?

8차 계획에서 수요예측을 위해 사용한 전력패널모형(거시모형의 한 종류)은 7차 계획에서도 사용했던 수요예측 모형으로써 20개 선진국 수요패턴의 장기변화를 벤치마킹하는 것이 특징이다.

5차 계획까지 사용했던 미시모형과 거시모형에 2006년부터 2011년까지 GDP 실적을 입력해 산정한 전력수요를 실제 전력수요와 비교한 결과, 전력소비량(거시 0.7% v. 미시 2.3%)과 최대전력(1.0% v. 1.4%) 측면에서 거시모형의 오차율이 작았다.

 

전력패널모형 산업구조 변화 반영

선진국의 경제성장과 전력수요의 변화를 추종하는 전력패널모형은 경제성장과 함께 제조업 비중이 감소하고 서비스업 비중이 증가하면서, 전력수요 증가율이 둔화되는 현상을 충분히 반영했다는 설명이다.

향후 우리의 산업구조도 선진국 경로를 추종해, 고부가가치 산업 및 서비스업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반영돼 있으며, 이러한 패턴이 모형의 소득탄력성 계수를 통해 전력수요전망까지 연결된다는 지적이다.

 

다른 기관의 경제성장전망 미반영

소위원회는 한국은행과 민간 경제연구소의 GDP 전망도 함께 검토했으나, 최대 2년까지 전망을 하고 있기 때문에 15년을 계획기간으로 하는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반영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또한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정부의 행정계획인만큼 정부가 최근에 발표한 경제성장전망을 반영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의견을 모았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