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에너지난 풍력에너지로 극복 할 수 있다
북한의 에너지난 풍력에너지로 극복 할 수 있다
  • 김정태 기자
  • 승인 2018.08.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풍력 잠재량 400만kW, 가능면적 남한의 1.7배 달해

최근 남북 화해모드가 조성되면서 ‘남북 신재생에너지 협력’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10년간 중단된 북한 풍황자원 조사 재개를 시작으로 남북 풍력에너지 협력을 통한 북측 풍력발전단지 조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대한전기협회는 지난달 16일 송영길 국회의원과 남북풍력협력사업단, 한국풍력산업협회, 남북강원도협력협회, 한국풍력에너지, 북방경제협력위원회와 공동으로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남북 풍력에너지 협력을 위한 전략 세미나’를 개최하고, 남북 풍력에너지 협력을 위한 전략 등에 대해 논의했다. 주요 내용을 정리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김홍우 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는 북한의 전력난 해소를 위해 풍력에너지가 보급되야 하며 이를 위한 자원조사가 재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박사는 “북한은 2000년대 이후 에너지 사정은 다소 개선되 고 있으나 새로 건설된 수력발전소의 낮은 가동률, 화력발전 소의 노후화 및 부품 부족에 따른 유지보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여전히 에너지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이유로 북한은 재생에너지 개발과 보급 을 위해 실질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현재 100kW급 풍 력발전기를 자체 생산·공급하고 있고, 북한 당국도 태양광과 풍력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박사는 “이렇게 남북 관계가 개선되고 있는 상황에서 북 한의 에너지난 해결을 위해서는 풍력에너지가 핵심적인 역 할을 할 것”이라며 “풍력발전단지 건설을 위해 사전타당성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박사에 따르면 북한지역 풍력자원 조사를 위해 11명으로 구성된 남북풍력협력사업단은 2007년 6월 8일부터 같은 달 19일까지 북한을 방문했다. 당시 북한의 풍력발전단지 개발 후보지역으로는 △온천지구(6~8m/sec) △치마대 지구(8~10m/sec) △마식령지구(8~10m/sec) △지초덕지 구(10m/sec) △백두산·삼지연지구(12~14m/sec) △대흥 단지구(12~14m/sec) 등 6곳으로, 온천군과 마식령 지구에 풍황측정 시스템을 설치했다. 그러나 2008년 정권 교체 이후 정부의 불허로 인해 조사가 중단된 바 있다. 김 박사는 “남북 협의를 통해 그간 계측 결과를 토대로 풍 력발전을 위한 경제성·타당성 분석을 해야 한다”며 “단, 북한과의 협력사업 진행에 앞서 ‘남한이 하고 싶은 것’과 ‘북한이 하고 싶은 것’이 일치하는 분야에서부터 시작해 ‘상호 이 익’을 실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태기 대한전기협회 박사는 ‘남북 전력현황과 재생에너지 협력방안’주제발표를 통해 중장기적인 분산전원을 이용한 고품질, 고신뢰도의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강조했다. 김 박사는 “북한은 마이크로그리드 기술을 이용해야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며 “생활 연계형 및 소규모 독립형 마이크로드그리드와 경제 특구 및 경제 개발구 단지계획 규모의 계통연계형 마이크로그리드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분산전원을 확대 보급해야 된다”고 밝혔다.

또한 김 박사는 “북한은 재생에너지 잠재량이 많다”며 “에너지기술연구원 자료에 의하면 북한의 풍력 잠재량은 400만 kW, 풍력발전이 가능한 면적이 남한의 1.7배로서 특히 북 서해안과 개마고원의 연평균 풍속은 4.5m/sec 이상으로 북 한 전지역의 18%”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생산, 에너지 저장, 마이 크로그리드 등이 요소기술을 이용한 에너지 자립섬 및 마 이크로그리드 사업 등의 경험으로 북한지역에 추진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영일 통일부 남북교류협력기획과장은 남북 교류협력 현황과 추진 방향에 대한 발표를 통해 “풍력에너지는 남북경협의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북한과의 교류에 앞서 대북제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과장은 “북한의 핵, 탄도미사일 개발 프로그램 중단 을 위해 물자, 금융, 운송 출입 등에 있어 UN안보리, 미국 등으로부터 제재를 받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러한 대북제재에도 불구하고 틈새 영역을 찾아 정부에 제시한다면 정부에서도 적극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