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전기차·연료전지 세계시장 1위 달성 위해 ‘확보·’‘안전’ 필요
수소전기차·연료전지 세계시장 1위 달성 위해 ‘확보·’‘안전’ 필요
  • 이훈 기자
  • 승인 2019.04.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소 수입·유통센터 확대와 안전 관련 법령 강화해야

정부는 ‘수소전기차 및 연료전지 세계시장 점유율 1위 달성’을 위해 힘을 쏟고 있다. 이에 수소의 양산·이동·저장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특히 수소경제 활성화의 핵심은 수소차 산업이다. 수소차의 성공적인 보급을 위해서는 도심 내의 수소충전소 보급이 확대돼야 한다. 이에 앞서 대중들에게 수소가 안전하다는 인식을 심어줘야 한다.

2040년 526만 톤 필요 … 수소유통센터·해외 제조 및 수입 필요

수소생산로드맵에 따르면 수소 활용산업이 성장할 경우 2022년에는 연간 47만 톤, 2030년에는 194만 톤에서 2040년에는 526만 톤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수소 확보가 필수 조건이다. 수소 확보를 위해 유영돈 고등기술연구원은 “국내 여건을 고려한 수소 생산, 저장 및 운송 전과정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수행해야 한다”며 거점형 중대규모와 분산형 소규모 수소생산기지 구축을 제안했다.

유 연구원이 제안한 거점형 중대규모는 천연가스 공급망에 300~1,000N㎥ 이상급 수소 추출기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유 연구원은 “도시가스 배관망을 활용해 추출수소를 생산하고 권역별로 충전소에 공급하는 머더 스테이션(Mother station)으로 운영하면 된다”며 “올해 총 150억 원을 들여 3개의 생산기지를 구축해 수소차 확산, 충전소 구축 등과 연계해 연차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분산형은 수요처 인근 도심지 LPG, CNG 버스 차고지 등에 300N㎥/h급 수소 추출기를 구축하는 것이다. 실제 한국가 스공사는 정암관리소 142개소, 생산기지 4개소 LCNG충전소 4개소 등에 가용우비 및 설비구축 용이성을 고려해 입지 선정 중이다.

홍석주 가스공사 신성장사업처장은 “공급관리소는 대부분 도시 외곽에 위치해 민원발생 우려가 적고 수요처 인근에 설치해 설비의 효율적 이용 및 운송비용 최소화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국가스공사는 수소 인프라 구축 초기 튜브트레일러(T/ T)를 통한 공급으로 시장을 형성하고 수요증가와 연계해 배관 공급과 T/T 공급방식 혼용해 추진한다. 튜브트레일 러는 수소유통센터 운영과 연계해 시장초기에 적용하고 향후 배관망을 이용 할 수 없는 수요처 등 감안해 추진할 예정이다.  수소배관 건설은 공급비용 절감 및 안정적 공급을 위해 거 점형 수소생산기지 구축과 연계해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홍 처장은 “수소경제 활성화 조기 정착을 위해 수소유통센 터와 해외에서 수소 제조·수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장 초기 저장식 보급 … 저압수소·수소산업부품 관련 법령 강화 필요

수소자동차 충전소는 수소 공급 방식에 따라 저장식과 제조식으로 나눠진다. 제조식 수소자동차 충전소는 LP가스 천연가스 등 수소의 원료가 되는 가스 등을 개질기와 같은 추출장치로 수소를 직접 생산해 수소자동차에 공급한다.

반면 저장식은 부생가스를 정제하고 그 정제한 수소가스를 파이프라인 또는 수소 트레일러 등의 용기로 운송, 외부에서 수소 공급을 받는 충전소를 말한다. 이 두 충전소를 비교하면 수소충전소 설치 초기는 충전소 건설 운영비용 등 제조식 수소자동차에 비해 저장식 수소 자동차가 저렴하고 1일 충전대수가 적어 저장식 수소자동차 충선소가 다수를 차지한다.

박진남 경일대학교 신재생에너지학부 교수는 “초기에는 부생수소를 활용하는 저장식이 먼저 보급될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수소충전소 및 수소 안전 관련 규정은 대부분 가스안전공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박 교수는 “수소충전 관련 설비는 대부부 고압가스 안전관 리법령의 적용을 받고 있다”며 “다른 법령에서 별도의 제외 규정을 두고 있지 않는 한 여러 법령의 적용을 받을 수 있다” 고 지적했다.

허영택 가스공사 기준처장도 “저압수소에 대한 규정은 미흡 하다”며 “다가오는 미래 수소경제시대에 대비하여 법률을 마련하고, 제도를 정비해 수소산업의 체계적 지원과 안전관리 사각지대의 해소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수소산업부품은 고압으로 많이 사용되기에 부품의 불량은 대형사고 연계될 가능성이 우려된다”며 “수소산업 부품관련 인증기준 국제부합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