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성장 가로막던 화재 원인 밝혀졌다
ESS 성장 가로막던 화재 원인 밝혀졌다
  • 원혜림 기자
  • 승인 2019.07.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화재 원인 인재(人災) … 제품 결함 없어
정부, 종합적인 안전강화 대책 내놔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가 2017년 8월부터 지난 5월까지 전국에서 23건이나 발생했다. ESS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는 저장 장치로 정부가 오래전부터 신성장동력으로 내세웠다. 하지만 연쇄적인 화재 원인을 찾을 수 없어 관련 기업의 손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실제 LG화학은 ESS 화재로 인한 가동 중단으로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2,75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08억 원 보다 무려 57.7%나 감소했다, 정호영 LG화학 사장은 컨퍼런스 콜에서 “1분기 ESS에서 1,200억 원 정도의 손실이 있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에 정부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사고 원인 규명을 통한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해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를 설치하고, 약 5개월에 걸쳐 조사 활동을 실시했다.

ESS 분야의 학계, 연구소, 시험인증기관 등 19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조사위는 총 23개 사고현장에 대한 조사와 자료 분석, 76개 항목의 시험 실증을 거쳐 조사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23건의 화재사고 중 14건은 충전 완료 후 대기 중에 발생했다. 6건은 충·방전 과정에서 발생 했고 설치·시공 중에도 3건이 발생한 것이 확인됐다.

산업부 제공

사고 원인으로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 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 호 체계 미흡 등 4가지 요인을 확인했다. 일부 배터리 셀에서 제조상 결함을 발견했으나 이러한 결함 을 모사한 실증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지는 않았다.

조사위 관계자는 “제조결함이 있는 배터리가 가혹한 조건에서 장기간 사용되면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산업부 제공

정부는 화재 원인을 토대로 ESS 제조·설치·운영 단계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소방기준 신설을 통해 화재 대응 능력을 제고하는 종합적인 안전강화 대책을 내놓았다.

우선 제품 및 시스템 차원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ESS용 대용량 배터리 및 전력변환장치(PCS)를 안전관리 의무대상으로 지정, ESS 주요 구성품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하도록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오는 8월부터 배터리 셀은 안전인증을 통해 생산 공정상의 셀결함 발생 등을 예방하고 배터리 시스템은 안전확인 품목으로 관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PCS는 올해 말까지 안전확인 용량 범위를 현행 100kW에서 1MW로 높이고, 2021년까지 2MW로 확대한다. 특히 실증시험으로 확보한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해 향후 ESS 분야 국제표준 제안 등 국제표준화 논의를 주도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ESS 설치기준을 개정해 옥내설치의 경우 용량을 총 600kWh로 제한하고, 옥외에 설치할 경우 별도 전용건물 내 설치하도록 규정해 안전성을 제고한다. 누전차단장치, 과전 압보호장치, 과전류보호장치 등 전기적 충격에 대한 보호 장치 설치도 의무화하는 한편, 배터리 만충 후 추가충전을 금지한다.

배터리실 온도·습도 및 분진 관리는 제조자가 권장하는 범위 내에서 관리되도록 기준을 설정할 계획이다. 이상징후(과전압·과전류, 누전, 온도상승 등)가 탐지될 경우 관리자에게 통보하고, 비상 정지되는 시스템을 갖추도록 하며 사고 시 원활한 원인규명을 위해 배터리 상태(전압, 전 류, 온도 등) 등 ESS 운전기록을 안전한 곳에 별도 보관하도록 의무화된다.

이밖에 정기점검주기를 4년에서 1~2년 사이로 단축하고 안전과 관련된 설비의 임의 개조ㆍ교체에 대한 특별 점검을 수시로 실시하며, 미신고 공사에 대해 처벌하는 규정도 마련한다. 또 소방시설 설치도 의무화된다.

업계에서는 안도감과 동시에 향후 사업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한국전기산업진흥회는 입장문을 통해 “이번에 발표된 사고 조사와 안전대책 및 생태계 육성책에 업계 의견이 대부분 반영된 만큼 앞으로 ESS 산업이 활성화되고 국제경쟁력을 높여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업계가 설치기준 및 통합관리기준 등에 신속히 대응하고 사업장별 특성을 반영한 예방조치에도 선도적으로 임해 ESS 산업의 지속성장과 보급 활성화에도 솔선수범할 것”으로 기대했다.

정부도 미래 신산업으로서 국내 ESS 산업이 지속 성장하기 위해 화재 사태로 위축된 성장활력 회복이 필요한 만큼, 단기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향후 유망분야에서 새로운 수요 창출 을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