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발전에 대한 우려와 기대
해상풍력발전에 대한 우려와 기대
  • 전봉걸 위원장
  • 승인 2020.09.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봉걸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 전기저널 편수위원장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7월 그린 뉴딜의 첫 현장 방문지로 전라북도 부안의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 실증단지’를 선택했 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현재 124MW 규모인 해상풍력발전 용량을 100배 늘려 2030년 12GW까지 확대하겠 다고 밝혔다.

2017년 발표한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의 실행을 위한 에너지전환과 한국판 그린 뉴딜의 실행 축으로서 해상풍력을 개발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을 통해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2040년까지 30∼35%까지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해상풍력발전 확충은 불가피하다. 실례로 지난해 신 · 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 · 보급 실행계획을 통하여 2025년 본격화될 부유식 해상풍력 시장의 적기 진입을 위해 핵심기술을 개발할 계획임을 밝혔다.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해상풍력발전에 알맞은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다. 해상풍력발전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상대적으로 작다. 또한 풍력단지 구축, 터빈 제조, 유지보수, 계통 연계 등과 관련된 산업파급 및 고용창출 효과가 태양광 등 다른 재생에너지원에 비해 크다는 장점도 있다. 

지난 2017년 탐라해상풍력이 국내 최초로 3MW 용량의 해상풍력발전기 10기를 설치해 30MW 규모로 상업용 발전을 시작했다. 한국해상풍력은 서남해 2.5GW 해상풍력 종합추진계획을 마련하며 올해 초 60MW 실증단지를 구축했다. 또한 울산광역시는 우리나라의 강점인 세계 최고수준의 조선해양 플랜트 인프라를 적극 활용해 해상풍력 산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석유공사와 함께 5MW급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시스템을 개발해 2030년까지 1GW 규모의 단지 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는 많다. 주민 수용성 및 어민 · 주민 보상 문제,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등은 피할 수 없다. 외해(外海)로 갈수록 이러한 문제가 완화되지만 반대로 투자비가 급격하게 증가한다. 생산된 전기를 수요처까지 운송하는 송전선로 확보 문제 해결도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더해 국내 풍력발전 관련 기술이 선진국 수준과 격차가 아직 크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재생에너지 발전의 확대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경제효과가 크고 우리나라의 지리적 이 점을 활용할 수 있는 해상풍력에 대한 투자가 그나마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기술축적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성급한 추진은 선진국에 대한 기술의존도 심화를 초래할 수 있다.

시대에 뒤떨어진 유치산업 보호정책을 얘기할 수는 없지만 우리나라 에너지 안보와 산업발전을 위한 치밀하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전봉걸 위원장 keaj@kea.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