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ESS 산업의 미래는?
국내 ESS 산업의 미래는?
  • 이훈 기자
  • 승인 2021.04.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 시장 1/ 3 점유 … 최근 파산 위기까지 몰려
탄소중립 달성, ESS 활성화 수반돼야 … 전력계통 안정화에 활용

국내 ESS(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저장장치) 분야는 세계 시장의 1/3을 차지할 정도로 앞서나가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2년간 발생한 ESS 화재 사고로 인해 수주가 급감하면서 파산 위기까지 몰리고 있다. 실제 2018년 운영을 시작한 ESS 신규설비는 973개에 달했지만 2019년에는 476개로 절반 이상 줄었다. 2018년 3.7GWh 수준으로 정점을 찍은 ESS 신규설비용량도 2019년 1.8GWh로 축소됐다. 이에 업체들은 사업부서를 축소시키거나 폐쇄하는 등 ESS사업에 대한 기대를 줄이고 있다.

이학성 ESS 생태계육성통합협의회장 발표 모습

이학성 ESS 생태계육성통합협의회장은 지난달 9일 서울 송파구 전기회관에서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ESS 활용방안’이란 주제로 열린 전력정책포럼에서 “전기요금 할인 특례와 REC 등 보급 지원 정책으로 2017년부터 대폭 확대됐던 국내 시장은 2019년 화재 이후 지난해 REC 가중치 일몰제 도래에 따른 일시적인 시장 회복 외에는 산업이 점차 침체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업계 관계자도 “국내 ESS 산업은 뒷걸음질을 치는 것 같아 안타까운 상황”이라며 “그동안 축적된 경험과 투자가 화재 여파로 한순간의 물거품이 될 수는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세계 ESS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30% 이상씩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드맥킨지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배터리 용량 기준으로 전 세계에 11GWh가 보급됐다. 2030년에는 164GW까지 늘어나 누적 설치용량 741GWh 규모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신재생 발전원의 계통 인입에 따른 에너지 믹스와 소규모 분산 전원의 확대로 전력망 안전성 강화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어 FTM(계통용) 시장에서의 성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향후 세계 ESS 시장 확대를 주도할 미국 · 중국 · 호주 등은 공통으로 주파수 조정, 예비력 등의 전력계통 보조서비스 강화를 위해 ESS를 사용한다는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성공적인 에너지 전환과 ESS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안정적인 ESS산업 생태계 구축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이 회장은 “정책 불확실성과 로드맵 부재 등으로 전망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ESS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 정책이 없어졌다”고 주장했다.

이 회장에 따르면 ESS 기본요금 할인의 경우 3배를 인정하다가 올해부터 2026년 3월까지 1배수 할인으로 축소됐으며 경부하 충전요금 50% 할인과 태양광 · 풍력 연계 ESS에 부여되던 REC 가중치도 지난해 모두 일몰됐다.

그는 이어 “전 세계 에너지시장 변화에 맞춰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ESS 보급 확대를 통한 전력망 안정화에는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며 “그린뉴딜을 통한 탄소중립과 RE100 달성을 위해서라도 ESS 활성화가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턴키사업자 책임 하에 안전, 시스템 성능, 사업성 등을 보증할 수 있는 사업구조를 지향하고 전문성을 가진 다양한 중소기업 · 학계 · 기관들이 생태계 육성을 위한 협업체계를 구축해야 하는 필요성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전 검사 후 상업운전 시작일로부터 1배수 전기요금 특례를 적용하거나 상업운전 시점부터 1년간은 50% 할인, 2년부터는 25%로 차등 적용하며 전력사용량 증대에 따라 충전 할인을 유지하는 정책도 제안했다.

이 회장은 “단기투자 유인책인 일몰제보다는 기간제 지원정책을 펼친다면 투자비 회수가 늦더라도 신규 사업 유치가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력거래소와 한국전력은 전력계통의 안정화를 위해 ESS를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한전은 2023년까지 1.4GW 규모의 ESS를 설치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연간 3,100억 원 상당의 발전제약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성규 한전 계통연계부장은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송전선로 보강이 진행돼야 하는데 민원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지연될 경우 대규모 발전 제약이 불가피하다”며 “ESS를 활용해 전력계통 불안정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창근 전력거래소 계통계획팀장도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4년 풍력·태양광 설비 용량 68GW 가운데 50% 이상이 호남지역에 편중될 것으로 전망돼 새로운 전력계통을 구성해야 할 상황”이라며 “신규 전력망을 확충하지 못할 경우 재생에너지 발전제약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ESS 활용 시 발전제약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의견을 더했다.

이훈 기자 hoon@kea.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