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중요한 건 알지만 … 현장 적용은 ‘글쎄’
ESG 중요한 건 알지만 … 현장 적용은 ‘글쎄’
  • 이훈 기자
  • 승인 2022.02.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곳 중 7곳 ‘중요’ … 실제 경영수준 ‘보통’
전담 조직·인력 미비 … 산업부, 한국형 ESG 가이드라인 발표

국내 기업들이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를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실제 경영적용에는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와 한국생산성본부가 공동으로 국내기업 300개社를 대상으로 실시한 ‘ESG 확산 및 정착을 위한 기업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ESG가 기업 경영에 있어 중요한지 질문에 10곳 중 7곳이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ESG 중 ‘환경’ 가장 중요 … 사회, 지배구조 순
그린 택소노미 글로벌 이슈 … ESG 가이드라인 및 교육제공 필요

ESG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경영성과에 긍정적 효과 발생’(42.9%)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 ‘소비자 인식 및 소비 트렌드 변화’(41.9%), ‘투자자 및 금융기관 요구 확대’(11.4%), ‘임직원의 조직 몰입도 및 만족도 증가’(3.8%) 순으로 조사됐다. 단 ESG 중요성에 대한 높은 인식수준에 비해 실제 기업들의 ESG 경영 수준은 5점 척도 기준 2.9점으로 보통(3점) 이하로 낮았다.

특히 ESG 전담 조직과 전담 인력을 갖춘 기업도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ESG위원회의 경우 조사대상 기업의 15.7%만이 ‘있다’고 답했으며, ESG 업무를 담당하는 조직이 있다는 응답도 21%에 불과했다. 이와 함께 ‘ESG 업무를 총괄하는 별도의 임원을 둔 기업’은 12.7%에 그쳐, 전체적으로 20% 이하의 기업만이 ESG 전담조직과 인력을 갖춘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E) · 사회(S) · 지배구조(G)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야를 묻는 질문에는 과반수 기업 이상이 환경(60%)이라고 답했다. 다음으로 ‘사회(S)’(23.3%), ‘지배구조(G)’(16.7%) 순이었다.

각 분야별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활동을 묻는 질문에는 환경(E) 분야의 경우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배출량 감축’(49.7%)을 지목하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친환경 제품 · 서비스 개발’(22%), ‘환경오염물질 저감’(19%), ‘자원순환 체계 구축’(8.7%) 등이 뒤를 이었다. 사회(S) 분야의 경우 ‘사업장 안전보건 개선’(43%)을 1순위로 꼽는 기업이 가장 많았고, ‘제품 · 서비스 안전 · 품질 개개선’(23.3%), ‘지역사회 기여’(19%), ‘공급망 및 사업장 노동·인권 개선’(14.7%) 순이었다.

지배구조(G) 분야의 경우 기업들은 ‘주주권리 보호’(44%)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이사회 구성 · 운영 선진화’(26.3%), ‘감사제도 투명성 강화’(26%) 등도 중요한 활동으로 꼽았다.
EU에서 공급망 실사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기업들이 절반이 넘는 50.4%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재 공급망 실사 의무화에 실제 대응을 준비하고 있는 기업은 21%에 불과했다.

향후 ESG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글로벌 이슈로는 응답기업의 37%가 ‘친환경 사업 분류체계’(그린 택소노미)를 꼽았다. 그린 택소노미란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제 활동의 범위를 정하는 것을 뜻한다. 다음으로는 ‘자원순환’(28.3%)을 선택한 응답이 많았으며, ‘ESG 정보공시 의무화’(13%), ‘인권보호 및 다양성’(9%), ‘생물다양성’(6.7%), ‘공급망 실사’(6%) 등이 뒤를 이었다.
또한 ESG 경영을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는 ‘ESG 도입 및 추진에 관한 구체적 방법론 확산’을 가장 중요하게 들었다. 이어 ‘ESG 관련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확산’ , ‘ESG 평가 지표 및 기준 통합’ 등을 꼽아, ESG 경영 활성화를 위해서는 ESG 가이드라인 및 교육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윤철민 대한상의 ESG경영팀장은 “국내기업의 ESG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커지고 있지만 아직 상당수 기업은 ESG경영을 실천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대기업에게는 ESG 평가지표 해석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중견 · 중소기업은 내부 전문인력 양성을 지원하는 등 차별화된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외 600여 개에 달하는 ESG 지표로 업무 혼선을 겪는 기업들을 위해 ‘한국형 ESG(KESG)’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산업부에 따르면 K-ESG는 국내외 주요 13개 평가기관 등의 3,000여 개 이상의 지표와 측정항목을 분석해 61개 ESG 이행과 평가의 핵심 · 공통사항을 마련했다. 또한 국내 ESG 평가기관에서도 자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정보공시(P) 분야는 △ESG 정보공시 방식 △ESG 정보공시 주기 △ESG 정보공시 범위 등 5개, 환경(E) 분야는 △환경경영 목표 수립 △재생 원부자재 비율 △온실가스 배출량 △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 △폐기물 재활용 비율 △환경법 · 규제 위반 등 17개 문항으로 구성됐다. 사회(S) 분야의 경우 △신규 채용 △정규직 비율 △결사의 자유 보장 △여성 구성원 비율 △ 산업재해율 △협력사 ESG지원 등 22개, 지배구조(G) 분야는 △이사회 내 ESG 안건 상정 △ 사외이사 비율 △대표이사 이사회 의장 분리 △배당 정책 및 이행 △감사기구 전문성 등 17개 문항이다.

산업부는 글로벌 동향을 반영한 K-ESG 가이드라인 개정판을 1∼2년 주기로 발간하고 업종별 · 기업 규모별 가이드 라인도 올해 마련할 계획이다.

박진규 산업부 제1차관은 “ESG를 중심으로 한 경제 · 사회 전반의 변화는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며 “국내 기업들이 당면한 도전을 지혜롭게 대응하고 성장의 기회로 삼을 수 있도록 구상중인 정책들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훈 기자 hoon@kea.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