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공급 확대보다 효율적 활용이 중요
에너지 공급 확대보다 효율적 활용이 중요
  • 이훈 기자
  • 승인 2022.08.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6월 전력수요 역대 최고 기록 … 8월 둘째 주 최대 전력 수요 시기 전망
산업부 고위 관료 알리기 적극 나서 … 수요효율화 정책 발 빠른 전개

새정부 에너지정책의 양대 축인 에너지 수요 효율화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무더위가 일찍 다가왔기 때문이다.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6월 전력수요는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지난 6월 월평균 최대 전력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3% 증가한 7만 1,805MW에 달했다. 특히 지난달 23일에는 전력 공급예비율이 9.5%까지 떨어져 연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여름은 예년보다 더워 최대 전력 수요가 91.7~95.7GW(기가와트)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올여름 전력 최대 수요시기를 8월 둘째 주로 예상하고 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달 10일 서울 복합발전본부를 찾아 “예상보다 빨리 무더위가 찾아온 만큼, 전력거래소를 중심으로 전력수급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할 것”이라며 “한국전력과 발전사에서는 발전소와 송·변전설비 등에 불시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비 관리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거의 모든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는 국내의 경우 최소한의 에너지를 사용해 최대효과를 창출하는 에너지 수요효율화는 매우 중요하다. 앞서 정부는 2027년까지 서울의 6년 치 전력 사용량에 해당하는 약 2,200만 TOE(석유환산톤)를 줄이기로 발표한 바 있다. 이에 산업부 고위 관료들은 에너지 수요효율화를 알리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달 서울 중구 롯데호텔 서울에서 열린 ‘서울시-산업부 에너지효율 혁신 MOU 체결식’에 직접 참석해 “에너지 수요효율화는 에너지 수입을 감소시켜 무역적자 해결과 물가상승 억제에도 도움이 되는 강력한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박일준 2차관도 에너지 수요효율화 산업계 간담회에서 “에너지 공급을 늘리는 것보다 에너지 수요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에너지 수입을 감소시켜 무역 적자 등 한국 경제 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정부는 건물 · 산업 · 수송 3대 분야의 수요 효율화 정책을 발 빠르게 전개하고 있다. 우선 가정에서 전기 소비를 줄이면 현금을 되돌려 받는 ‘에너지 캐시백’ 제도를 전국으로 확대 · 시행했다. 에너지 캐시백은 주변 단지나 가구보다 전기를 더 적게 사용한 사용자에게 절감률에 비례해 현금을 돌려주는 사업이다. 현재 가구의 경우 평균보다 적게 쓴 전력량을 계산해 kWh당 30원을 되돌려받는다. 시범사업에서는 지난 4개월(2~5월) 동안 전기차(니로) 1만 2,200대를 완충할 수 있는 전력(779MWh)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와 함께 에너지를 많이 쓰는 쇼핑몰 · 대학 · 데이터센터 등 대형 건물의 효율 혁신을 위해 서울시와 협약을 맺고, 뉴욕 등 선진 도시처럼 에너지 사용량 총량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이 밖에도 에너지 다소비 사업장의 효율 혁신과 고효율 기기 보급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수송부문에서는 친환경 미래차 추세에 맞춘 효율제도를 정비한다. 배터리 중량 증가 등으로 악화 추세인 전기차 전비개선을 위해 현행 단순 표시제를 넘어 등급제(1~5등급)로 개편할 계획이다. 차량수로는 3.6%에 불과하지만 수송에너지의 21%를 사용 중인 중대형 승합 · 화물차(3.5톤 이상) 연비제도 도입도 추진된다. 주행효율이 우수한 친환경차를 적극 보급하고 차세대 지능형 교통망(C-ITS)을 구축, 스마트항만 건설 등 교통망 혁신을 통한 효율개선도 추진된다.

한편 에너지 수요효율화는 과거에도 늘 강조돼왔던 정책이다. 앞선 정부에서도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 공급 중심의 에너지 다소비형 체제를 소비구조 혁신을 통해 선진국형 고효율 · 저소비형 구조 전환을 반영했으며 산업, 건물, 수송 등 부문별 수요관리를 대폭 강화했다.

산업부문은 다소비사업장의 자발적 협약, FEMS 설치 확대, 고효율기기 교체지원, 마이크로그리드 구현 및 종합적 에너지 절감 실현 등, 건물부문은 에너지효율평가 의무화, 그린리모델링 지원, 건물 단열 · 설비 기준강화, BEMS 설치 확대, 형광등 시장 퇴출, 탑-러너 이니셔티브 도입 등, 수송부문은 중·대형차 연비목표 도입, 승용차 연비개선, 전기차 · 수소차 보급확대, 지능형교통시스템 구축 및 비도로 수송효율 향상 등의 정책을 실행했다.

이훈 기자 hoon@kea.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