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 분산에너지 신호탄 될까?
데이터센터, 분산에너지 신호탄 될까?
  • 이훈 기자
  • 승인 2023.08.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9년까지 637곳 건설 계획… 4인 가구 6,000세대 전기 소모
수도권 쏠림 ‘심각’… 지자체, 지방경제 활성화 위해 유치 ‘총력’

데이터센터가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미래 산업의 중요한 인프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전국적으로 데이터센터 설치가 봇물 터지듯 이뤄지고 있지만 많은 전력 사용량, 전자파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산업통상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147곳이었던 데이터센터는 인공지능·자율주행 등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2029년까지 건설 계획이 637곳에 달한다. 데이터센터는 한 곳당 4인 가구6,000세대만큼 전기를 소모해 ‘전기 먹는 하마’로 불릴 만큼 전력 사용량이 많다.

실제로 한국전력에 따르면 지난 7월 13일 기준 한전에 전력 공급을 신청하고 대기 중인 데이터센터는 전국 110개이다. 이 중 83개가 수도권에 몰려 있다. 이를 감당하려면 전국적으로 6,574㎿의 전기가 필요하며 수도권 데이터센터에는 4,796㎿ 공급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전력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2021~2029년 데이터센터 전기공급 계약용량은 전국 193호 1만 4,660MW(용량) 중 수도권이 182호 1만 3,520MW (전국 대비 비중 92.2%)에 달했다.

김종민 한전 수요전략처장은 지난달 열린 한 포럼에서 “수도권은 전력 계통에 여유가 없어 2032년까지 수도권에 신청이 들어온 925개 중 40개 정도만 적기에 전력 공급이 가능할 것”이라고전했다.

이와 함께 초고압선에 따른 전자파 문제도 지역주민들의 반대와 민원이 증가하면서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데이터센터가 수도권 도심 한복판 또는 거주지 인근에 특고압선으로 설치하는 만큼 주민에게 전자파 영향 우려 지구단위계획으로 처리해 전자파 위해성 조사·사후 조치, 주민수용성 확보 절차조차 없다는 것이다.

이채명 경기도의원은 “전자파 위해성 조사 외에는 강제력 없는 임의조항이거나 대통령령 위임으로 구성돼 데이터센터에 불안한 주민을 안심시킬 실질적인 장치가 하나도 없다”며 “데이터센터 건립 전·후 주민 건강 보장과 건립 시 주민수용성 선행 의무화를 골자로 하는 법령 개정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완화 방안을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산업부는 비수도권에 들어서는 데이터센터에 대해 배전망 연결(22.9kV) 시 케이블, 개폐기 등 시설부담금의 50%를 할인하기로 했다. 송전망 연결(154kV) 시 예비전력 요금 면제 등의 인센티브도 함께 제공한다.

지자체 또한 지방경제 활성화를 위해 데이터센터 유치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앞으로 전력 정책의 우선순위는 전력 수요와 공급을 지역적으로 일치시키는 데 둘 것”이라며 “지방으로 내려가는 데이터센터에는 범부처 차원에서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이훈 기자 hoon@kea.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